신용카드상품권 더하기 생활정보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신용카드상품권 더하기 생활정보

메뉴 리스트

    • 분류 전체보기 (346) N
      • 부동산정보 (31) N
      • 상품권정보 (135)
      • 생활건강정보 (178) N

    검색 레이어

    신용카드상품권 더하기 생활정보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부동산정보

    • 안심전세 앱 출시 시세정보 제공 집주인정보확인

      2023.02.04 by withwith

    •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 9억이하 주택 DSR미적용

      2022.12.16 by withwith

    • 안심전환대출로 금리고정 한국주택금융공사

      2022.11.07 by withwith

    • 서울특별시 청년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사업 혜택

      2022.10.22 by withwith

    • 5년 소유 3년 거주시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조합원 지위 양도

      2022.05.06 by withwith

    • 청년매입임대주택 소득자산기준

      2022.04.15 by withwith

    • 영구, 국민, 행복 복잡한 공공임대주택 유형이 하나로 !

      2022.04.11 by withwith

    •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년 매입임대주택

      2022.03.30 by withwith

    안심전세 앱 출시 시세정보 제공 집주인정보확인

    국토교통부는 HUG, 한국부동산원, 한국감정평가사협회와 한국공인중개사협회 등 관계기관과 지난 4개월간 협력한 결과, 2.2일 정오부터 대국민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안심전세 App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 등을 통해 다운로드할 수 있고, 기존 모바일 HUG 앱과 통합 운영 될 것이며, 안심전세 App은 전세사기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정보 비대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그간 임차인은 적정한 전세가격이나 사고 이력이 있는 임대인인지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 전세사기 범죄에 쉽게 노출되었으며 특히, 신축빌라나 나 홀로 아파트와 같이 시세정보가 없는 주택의 경우 공인중개사나 분양대행업자가 시세 부풀리기를 통해 과도한 전세보증금을 요구해도 임차인..

    부동산정보 2023. 2. 4. 19:08

    2023년 특례보금자리론 9억이하 주택 DSR미적용

    특례 보금자리론이란? 현재 금리 상승으로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이 크게 가중되는 상황이 늘어나는 만큼 서민과 주택 실수요자에게는 거주 목적으로 하는 부담이 더욱 늘어나고 한참 높은 부동산 가격에 주택을 구매했을 경우 이 고통은 2배가 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어 이 부담을 경 감시 켜려는 목적으로 1년 동안 한시적으로 일반형 안심 전환과 적격을 보금자리론에 통합해 운영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상품 우대형안심(일반형) 보금자리론 적격대출 특례보금자리론 주택가격 6억원 6억원 9억원 9억원 대출한도 3.6억원 3.6억원 5억원 5억원 소득한도 1억원 7천만원 금리 3.8~4% 4.25~4.55% 4.55~6.91% 단일금리 산정체계 2023년에 출시되는 특례 보금자리론은 서민층분..

    부동산정보 2022. 12. 16. 12:11

    안심전환대출로 금리고정 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안심전환대출 2단계 신청요건을 완화하고 대출한도를 상향한 신청·접수를 시작합니다. ​ 주택가격 6억원 이하 (기존 4억원 이하) ​ 부부합산 소득 1억원 (기존 7,000만원) ​ 대출한도 3억 6천만원 (기존 2억 5천만원) 금리 : 연 3.8~4.0% (저소득 청년층 연 3.7~3.9%) 단, LTV 70% 및 DTI 60%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 상환 방식 상환 방식은 원금균등, 원리금균등 방식이 있습니다. ​ 대출 만기 대출 만기는 10년, 15년, 20년, 30년 중 선택 가능하며 만기가 길수록 DTI는 낮아집니다. ​ 신청인 국적 신청인 및 배우자는 주민등록표 등본에 기재된 대한민국 국민이어야합니다. 단, 배우자가 외국인(외국국적동포 등 포함)이라도 국내거소신고 사실을 증..

    부동산정보 2022. 11. 7. 19:57

    서울특별시 청년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 사업 혜택

    청년 중개보수 및 이사비 지원사업이란? 이사가 잦은 청년의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중개보수 및 이사비를 지원하는 사업 사업개요 ​ 사업명 : 2022년 청년 이사비 지원 사업 지원대상 : 2022.1.1. 이후 서울시로 전입 및 서울시 내에서 이사한 만 19세 ~ 39세 청년 가구로서 신청 자격을 충족하는 자 - 주민등록등본상 ‘함께 거주하는 동거인(부모 등)’ 이 있는 경우에도 신청 가능 지원 규모 : 약 5,000명 이상(이사비 지원사업 예산 범위 내) 지원 내용 : 이사비 최대 40만원 한도 내 실비 지원 (생애 1회) - 이사비(차량 대여비, 운반비, 포장비), 중개보수 등 이사에 실제 소요된 비용 최대 40만원 지원(개인용달 가능) ※ 청소비 제외 (예시 1) 이사비용 총 30만원 소요 →..

    부동산정보 2022. 10. 22. 09:58

    5년 소유 3년 거주시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조합원 지위 양도

    앞으로 소규모 주택 정비사업 때 1세대 1 주택자가 소유·거주기간이 일정기간 이상이면 조합원 지위를 양도할 수 있게 된다. 소형항공운송사업의 승객 좌석수는 최대 80석까지 허용되고, 역세권 개발사업의 절차 중복도 해소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4일 제3회 규제혁신심의회 및 적극행정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13건의 규제혁신과제를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심의회에서는 경제단체·민관합동 규제개선추진단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민생 편의 증진, 경영환경 개선, 행정절차 합리화 등을 위한 규제개선 과제를 발굴했다. 먼저, 소규모주택 정비사업 실거주자 조합원 지위 양도를 허용하도록 한다. 소유·거주기간이 일정기간(5년·3년) 이상인 1세대 1 주택자가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조합원 지위를 양도할 수 있도록 ..

    부동산정보 2022. 5. 6. 17:35

    청년매입임대주택 소득자산기준

    1. 입주대상 무주택 요건 및 소득·자산 기준을 충족하고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미혼 청년 만 19세 이상 만 39세 이하인 사람 대학생(입학 및 복학 예정자 포함) 취업준비생(고등학교 · 대학교 등을 졸업 · 중퇴 2년 이내인 미취업자) 1순위 -> 생계·주거·의료급여 수급자 가구, 차상위계층 가구, 지원대상 한부모가족에 속하는 청년 2순위 -> 본인과 부모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가구원수별 가구당 월평균 소득 100% 이하인 자로서 국민임대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자 3순위 -> 본인의 월평균 소득이 전년도 도시근로자 1인 가구 월평균소득 100% 이하인 자로서 행복주택(청년) 자산기준을 충족하는 자 2. 임대조건 1순위 : 보증금 100만원, 임대료 시중시세 40% 2 · 3순위 : 보증..

    부동산정보 2022. 4. 15. 14:39

    영구, 국민, 행복 복잡한 공공임대주택 유형이 하나로 !

    통합 공공임대주택 만나러 가볼까요? ​ ▶ 통합공공임대주택이란? 다양하게 발전해 온 공공임대주택이 30년 만에 하나로 통합되는 최초 사례입니다. ​ ▶ 공공임대주택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무엇이 달라지나요? - 임대주택 유형별로 상이했던 복잡한 소득·자산기준을 일일이 파악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 거주 중 소득이 점차 증가할 경우 퇴거해야 하는 불편함도 없어집니다. ​ (기존) 소득이 증가하면 퇴거 후 국민임대에 재청약 ​ (개선) 소득이 일부 증가하더라도 최대 기준(중위 150%)까지 안정적 거주 가능 ​ - 소득연계형 임대료 체계가 도입되면서 소득 수준에 따라 부담 가능한 임대료를 부과합니다. * 영구임대가 공급되지 않아 행복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영구임대(시세 30%) 보다 높은 임대료(시세 60%)를 ..

    부동산정보 2022. 4. 11. 11:28

    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청년 매입임대주택

    청년 1,828호·신혼부부 4,616호 입주자 모집…6월부터 입주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오는 3월 31일부터 전국 13개 시·도에서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매입임대주택의 ‘22년도 1차 입주자를 모집*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 입주자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한국 토지주택공사(LH)·지방공사 등과 협업하여 청년·신혼부부 유형의 모집공고를 통합 실시(3월·6월·9월·12월 예정)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은 분기 별로 입주 가능 세대를 파악하여 모집하며 금년 약 2.1만 호(수도권 1.3만 호)가 예상된다. 이번 모집물량은 총 6,444호로 청년형 1,828호, 신혼부부형 4,616호이며 지역별로는 서울 등 수도권이 4,157호, 그 외 지역이 2,287호이다. 3월 31일 모집 공고 후 4월부터..

    부동산정보 2022. 3. 30. 18:15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TISTORY
    신용카드상품권 더하기 생활정보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