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나이 상관없는 뇌졸중(뇌경색+뇌출혈) 증상 치료 및 예방법

생활건강정보

by withwith 2023. 11. 1. 10:55

본문

날씨가 싸늘해지면 주의해야 하는 질병 바로 뇌졸중입니다. 나이 상관없이 발병하여 갑자기 사망까지 이르게 되기에 더욱 관리가 필요합니다. 유명 아나운서가 평소 지병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45세 나이에 금일 오전 뇌졸중으로 사망하였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접하고 포스팅하게 되었습니다.

 

뇌졸중 증상 치료 및 예방법

 

 

뇌졸중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법

 

뇌졸중 원인

1. 흡연

2. 스트레스

3. 고령

4. 뇌졸중 가족력

5. 고혈압, 당뇨병, 심장병, 뇌졸중 과거력

6. 비만,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고지혈증

 

뇌졸중 증상

흔히 중풍이라 부르는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손상이 오고 그에 따른 신체장애가 나타는 뇌혈관질환입니다.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로 구분됩니다.

뇌 혈관은 부위에 따라 역할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 혈관에 병변이 있는지에 따라 뇌졸중의 임상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1. 반신마비

손상된 뇌의 반대쪽 팔다리, 안면하부에 갑작스러운 마비가 옵니다.

2. 전신마비

뇌간 손상 시 전신마비와 함께 의식이 저하됩니다.

3. 반신감각장애

손상된 뇌으 반대쪽의 시각, 촉각, 청각 등의 장애, 남의 살 같거나 저리고 불쾌한 느낌, 얼얼한 느낌을 호소합니다.

4. 언어장애

좌측뇌가 손상된 경우 우측마비와 함께 말을 못 하거나 남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실어증이 발생합니다. 뇌손상 부위에 따라 글을 못 쓰고 못 읽으며, 혀, 목구멍, 입술 등의 근육이 마비되어 발음이 부정확하고 마치 술 취한 사람처럼 어눌한 발음으로 말을 합니다.

5. 두통 및 구토

극심한 두통과 반복적인 구토, 의식 소실이 동반됩니다.

6. 의식장애

뇌간 부위에 뇌졸중이 발생하면 의식이 저하됩니다. 뇌졸중으로 인한 뇌 손상 부위가 광범위할 때도 의식이 저하됩니다.

7. 어지럼증

소뇌 손상 시 메스껍고 토하는 증상과 함께 몸의 불균형을 보입니다.

8. 운동 실조증

소뇌에 뇌졸중이 발생하였을 떄 술 취한 사람처럼 비틀거리고 한쪽으로 자꾸 쓰러지려 하고 물건을 잡으려고 할 때 정확하게 잡지 못합니다.

9. 시력장애

한개의 물체를 보는데 두 개로 보이는 복시나 시야의 한 귀퉁이가 어둡게 보이는 시야장애가 발생합니다.

10. 삼킴장애

음식이나 물을 삼키기 힘든 연하곤란이 옵니다.

11. 치매

뇌졸중으로 인한 치매는 비교적 갑자기 발생합니다. 정상적으로 생활하던 사람이 갑자기 동작이 서툴러지고 대소변을 못 가리며, 감정조절에 이상이 생기고, 기억력, 계산력, 판단력 등 지적 능력이 감소하게 되면 혈관성 치매를 의심해 봐야 합니다. 

 

뇌졸중 치료 및 예방법

1. 약물요법

혈전용해제나 항응고제등을 복용할 수 있고, 뇌경색 발생 4시간 이내에는 주사제인 혈전용해제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뇌경색 약물을 복용하던 사람이 재발 가능성이 높으므로 갑자기 약을 끊으면 안 됩니다.

2. 뇌부종 등으로 인해 생명이 위급할 때는 수술을 받습니다.

3. 현기증, 팔다리 저림, 뒷골 통증 등과 같은 퇴출혈의 전구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합니다.

4. 반신마비 등의 증상이나 근육의 위축이나 허약을 방지하기 위해 발병 초기부터 재활요법을 병행합니다.

5. 동맥경화증, 고혈압 등을 예방하고 치료합니다.

6. 휴식을 취하면서 갑작스럽게 자세를 바꾸지 않습니다.

7. 삼키는 것이 어렵거나 발음이 어눌해진 경우 음식을 삼킬 때 폐로 흡입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8. 뇌졸중의 전구증상을 주의 깊게 살펴야 합니다. 

  • 한쪽 팔다리가 마비되거나 감각이 이상하다.
  • 말할 때 발음이 분명치 않거나 말을 잘 못한다.
  • 일어서거나 걸으려 하면 자꾸 한쪽으로 넘어진다.
  • 주위가 뱅뱅 도는 것처럼 어지럽다.
  • 갑자기 눈이 안보이거나 둘로 보인다.
  • 갑자기 벼락 치듯 심한 두통이 온다.
  • 의식장애로 깨워도 깨어나지 못한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