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이 아닌 신용카드 이용자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가장 간편한 결제 수단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실물 카드가 아닌 모바일 안에 앱카드 형태로 이용하는 이용자도 증가하고 있는데요. 휴대 하기도 편리해 젊은 층뿐만 아니라 중장년층까지 그 이용이 폭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우리 일상생활에서 자주 이용하는 신용카드는 사용할 수 있는 한도가 가장 중요하겠죠.
이런 신용카드 한도가 오르지 않아 고민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원하지 않아도 카드사로부터 먼저 한도 상향을 제안 받는 사람도 있습니다.
좀처럼 감을 잡기 어려운 신용카드 한도 상향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적정 한도를 사용했는데도 신용카드 한도가 왜 오르지 않는지
신용카드 한도는 카드 사용자의 월 가처분 소득과 신용도, 이용 실적 등을 심사해 책정합니다. 여기서 가처분 소득이란 ‘연소득’에서 ‘연간 채무원리금 상환액’을 제한 금액입니다.
연소득은 소득세법상 종합소득과 금융재산 관련 소득(예/적금 등), 재산 관련 소득(부동산 등) 및 사회 보험 납부 금액을 근거로 추정 파악하며, 연간 채무원리금 상환액은 대출(카드론 포함) 금액에 대출 금리를 적용해 산정됩니다.
이를 토대로 카드사는 연 1회 이상 신용카드 회원의 이용 한도 적정성을 점검하여, 가처분 소득이나 신용도 등에 변동 사항이 있으면 1개월 이내 이를 반영해 한도를 조정합니다.
쉽게 말해, 과소비 하지 않고 적정 수준으로 신용카드를 써도 심사 결과에 따라서 한도가 올라가지 않을 수 있는 것입니다.
연간 벌어들이는 소득에 비해 대출을 갚는 데 들어가는 금액이 많으면 카드 대금 상환 여력이 넉넉지 않을 수 있고, 카드사는 이를 반영해 한도를 책정합니다.
그렇다면 적정 한도를 쓰는 건 어느정도인지
신용카드 한도 소진율을 50% 정도로 맞춰 소비하는 습관은 한도 상향에 도움이 됩니다.
※ 신용카드 한도 소진율(%) = 총 사용 금액 / 보유 신용카드 한도 합계
신용카드는 일종의 빚이고, 신용카드 한도는 카드사에서 빌리는 빚의 규모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한도를 몽땅 채워 쓸수록 빚을 많이 지는 셈이 되는 것입니다.
매번 한계까지 빚을 내는 사람에 대한 카드사의 신뢰는 떨어질 것이고, 신용카드 한도를 역시 높여 주지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 적정 수준으로 카드를 쓰고, 또 카드 대금을 잘 갚으면서 카드사에 신뢰감을 주어야 신용카드 한도를 올릴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한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면 한도 소진율이 되려 높아질 수 있으니 이 점은 주의 바랍니다.
카드 대금을 상환할 여력이 충분하고 신용도 역시 높은 사용자가 한도를 매번 다 쓰는 경우엔 정말로 한도가 부족한 것일 수 있다고 판단하여 카드사가 먼저 한도 상향을 제안하기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카드 대금을 연체해서 한도가 하향됐을 경우 상향 가능한 건지
카드값을 연체하면 사용자의 월평균 상환 능력 등을 참고해 한도가 하향 조정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연체한 금액을 서둘러 상환하는 등 신용도를 관리해야 하며, 그러고 나서 신용등급이 개선되었을 때 카드사에 한도 상향을 요구해 보시기 바랍니다.
일반적인 한도 상향과 마찬가지로 심사를 거쳐야 하는데, 각 카드사마다 심사 기준이 다르며, 카드사가 자체적으로 정한 자격 요건 및 기준에 따라 심사 후 채무불이행의 위험이 없다고 인정되면 한도 상향이 가능합니다.
신용등급이 7등급인데 신용카드 한도를 올릴 수 있는지
신용등급이 7등급 이하로 낮더라도 한도를 조정할 순 있습니다.
단, 월 가처분 소득의 200% 이내에서 개인별 심사 결과에 따라 한도가 부여된다. 1등급에서 6등급까진 월 가처분 소득의 300% 이내에서 한도를 책정합니다.
신용등급이 1등급에서 4등급 이내라면 보다 높은 한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신용카드 한도 책정 범위를 결정짓는 ‘월 가처분 소득의 일정 비율’을 각 카드사가 자체적으로 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외 신용카드 한도 올 기는 팁
비금융 실적 제출하기
각종 공과금과 통신요금은 비금융 실적으로 분류되며, 이에 대한 연체 없이 납부가 잘되었음을 실적으로 제출하는 경우 신용점수가 올라갑니다.
통신비, 건강보험, 국민연금, 전기세, 수도세, 도시가스, 관리비등이 해당됩니다.
이 자료를 나이스 지킴이, 올 크레디트와 같은 신용평가사에 제출하여 가산점을 받아 주세요.
대출이나 신용카드 연체 없이 사용하기
연체 건수가 많을수록 좋지 않으며, 단기간에 소액이라면 신용에 큰 영향은 없지만 큰 금액과 기간이 길수록 악영향을 줍니다.
지속적으로 적당히 사용하기
연체의 이력이 없더라도 본인의 월평균 수입 대비 지출이 많다고 판단될 경우 하락은 막을 수 있어도 상승하기는 어렵습니다. 총 한도의 50%를 이용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장기간 거래하기
최근에 발급한 게 아니라 오래전부터 사용한 신용카드는 그 간의 거래 이력이 많겠죠. 한도 상승에 도움이 됩니다.
현금서비스/카드론 이용 자제하기
카드론과 현금서비스는 대출의 성격을 띠고 있어 잦은 사용은 신용도에 악영향을 미칩니다.
잠시 사용하고 빠르게 갚았다면 일시적으로 점수가 하락할 수 있어도 다시 정상으로 오르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신용카드 상품권 구매는 아래 링크로 접속 후 가능합니다. 상품권 소액결제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희망리턴패키지 점포철거비지원 재창업지원 (0) | 2023.01.30 |
---|---|
2023년 최저시급 최저임금 계산방법 (0) | 2022.12.29 |
뿌리염색 자주하면 걸릴 수 있다는 암! (2) | 2022.10.15 |
교차로 우회전 일시정지 대처 방법 (0) | 2022.10.12 |
저소득층 에너지바우처 지원금 인상되었어요. (2) | 2022.10.11 |
댓글 영역